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총무하는일3

총무 업무 분류(7가지) 총무 업무 7가지 대분류 총무 업무는 자산관리, 보안/통제, 계약관리, 복리후생, 의전/행사, 업무지원, 기타 총 7가지 대분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자산관리 기업의 유형자산, 무형자산에 대한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 하는관리하는 것입니다. 자산의 취득 및 등록부터 자산 실사를 통한 유휴 자산과 불용자산 파악 후 매각/폐기까지 관리하는 것이 자산을 관리하는 것을 자산관리라고 말합니다. 총무성 자산 vs 회계 자산의 차이 기업마다 그 기준은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회계에서 자산은 사용 연한과 금액에 대한 기준이 있으며, 그 기준에 따라 회계장부상 자산으로 분류를 해둡니다. 반면, 총무성 자산은 금액 보다는 사용 목적이나 기간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총무팀에서 13만 원짜리 의자 한 개를 구매했.. 2022. 11. 15.
총무 직무 알아보기 - 이것만 보고 가도 총무 직무 합격률 급상승(총무업무매뉴얼 무료 나눔) 모든 것을 다르게 읽어보자, 그것이 변화다. 안녕하세요? 골든에프입니다. 지금부터 들려드릴 총무 업무 대백과 이야기는 예비 총무님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줄 것입니다. 오늘 글만 끝까지 보더라도 여러분의 자기소개서와 면접 답변이 재탄생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총무 직무를 지원하려고 준비중이거나 이제 막 입사한 신입 총무 여러분, 여러분은 총무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충분히 이해할 만큼 직무 조사를 했고, 알고 있다고 자신할 수 있을까요? 주변에서 두루뭉술하게 들었던 총무에 대한 이야기를 지금 여러분께 들려드리겠습니다. 마지막까지 읽어주신 분들은 1만 원 상당의 총무업무 매뉴얼 전자책을 무료드리고자 제가 운영중인 블로그를 통해서만 방문할 수 있는 링크를 남겨두겠습니다. 꼭 끝까지 천천히 읽어주.. 2022. 11. 3.
취준생을 위한 총무 직무 1. 총무업무의 이해 ​ 總務(합할 총, 힘쓸 무)의 사전적 정의는 ① 전체의 사무 ② 그 사무를 취급하는 사람 “어떤 기관이나 단체의 전체적이며 일반적인 사무, 또는 그 일을 맡아보는 사람” 가. 기업의 구성요소 기업은 기업가의 아래에 수많은 생산수단을 이용하여 영리(이익실현)를 목적으로 한다. 나. 총무 많은 사람들이“총무=잡부”라고 생각하고,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총무들 역시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제 막 입사한 총무 신입사원 일수록 이 말이 더욱 크게 와닿을 것이다. 그 이유는 어느 팀에도 소속되지 않는 일, 누군가에게 시키기에는 그 구분이 애매한 일들이 열에 아홉은 총무팀으로 넘어 오기 때문이다. 특히, 회사의 규모가 작을 수록 총무의 수는 적고, 업무의 범위는 방대해지니까 총무가 정.. 2021. 2. 13.
반응형